안녕하세요. 천국나그네입니다.
구청 홈페이지를 살펴보다가 재활용품 분리배출 가이드를 보고 정보를 올려봅니다.
재활용만 잘해도 자연보호, 환경보호를 실천하신다는 것 아시죠?
종이류
골판지(박스)류 |
○ 접착된 테이프 및 스티커 제거 후 접어 끈으로 묶어 별도배출 ○ 신선식품 배송 종이박스 은박지 제거 |
신문, 책, 광고지 | ○ 비닐 코팅된 표지의 비닐류, 스프링 제본된 책자류의 스프링은 제거 후 끈으로 묶어서 별도배출 |
종이팩(우유팩) | ○ 내용물을 비운 뒤 물로 헹군 후 일반 종이류와 혼합되지 않게 펼쳐서 별도배출 및 동주민센터에 배출 |
※ 종이팩 1kg ⇒ 두루마리 휴지 1롤 + 일반 종량제 봉투 10L 교환
Q&A
휴지는 재활용이 되나요? | 휴지, 물휴지 음식 등으로 오염된 휴지는 재활용되지 않으므로 일반용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해야 합니다. |
코팅된 종이(광고지, 전단지, 사진 등)는 어떻게 배출하나요? | 코팅된 종이는 재활용이 안 되므로 일반용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해야 합니다. |
스프링 등(철, 플라스틱)이 부착된 책자류는 어떻게 배출하나요? | 스프링 및 비닐 표지는 제거 후 종이류로 배출합니다. |
종이류로 배출하면 안되는 품목
감열지(영수증), 은박지, 천연재료 벽지, PVC코팅 벽지 등 다른 재질과 혼합 구성된 종이는 일반용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세요.
캔류, 고철류
철캔, 알루미늄캔 |
-캔에 부착된 플라스틱 뚜껑 등을 제거 후 내용물을 비우고 배출 -담배꽁초 등 이물질을 넣지 말아야 함 |
Q&A
버리는 우산은 어떻게 배출해야 하나요? |
○ 가급적 재질별로 분리해서 철은 고철로 나머지는 일반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 ○ 재질별로 분리가 어려운 경우는 특수 규격 마대로 배출 |
다 사용한 부탄가스 통은 반드시 구멍을 뚫어서 버려야 하나요? |
○ 그냥 버릴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노즐을 눌러 가스를 모두 제거하고, 송곳으로 구멍을 낸 후 캔류로 배출 ※ 잔류 가스 배출 시 통풍이 원활한 곳에서 해야 하며 화재 및 폭발 주의 |
유리병
음료수병, 기타 병류 |
○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한다. ○ 담배꽁초 등 이물질을 넣지 않고 배출 ○ 유리병이 깨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배출 ○ 소주, 맥주 등 빈용기 보증금 대상 유리병은 소매점 등으로 반납하여 보증금 환급 |
유리병류가 아닌 것들
거울, 전구, 깨진유리, 도자기류, 유독물병, 내열식기류, 유리뚜껑, 기름병, 크리스탈 유리제품
→ 특수 구격 마대로 배출해야 합니다.
Q&A
깨진 유리는 어떻게 배출하나요? |
깨진 유리는 재활용이 안되므로 양에 관계 없이 특수 규격 마대로 배출 ※ 특수 규격 마대 판매처 : 편의점 또는 마트 등 |
일반 유리제품(유리잔 또는 맥주컵 등)은 어떻게 배출하나요? |
일반 유리잔이나 맥주컵은 재활용이 안되므로 특수 규격 마대로 배출 단, 내열유리는 일반유리와 혼합되면 재활용 처리 시 불량을 유발하므로 특수 규격 마대를 구매하여 배출 ※ 내열유리의 종류 : 전자레인지 혹은 가스레인지용 유리 용기 |
빈용기 보증금 제도란?
사용된 빈 병을 회수하고 재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품의 가격에 <빈용기보증금>을 포함시켜 판매.
소비자는 유리용기의 제품을 구입한 후, 빈용기보증금 제품을 취급하고 있는 슈퍼, 대형마트 등의 소매점에 반환(1일 30병 이내)하면 빈용기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플라스틱류
페트병, 플라스틱 용기류 | |
(1) 비운다 | 용기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깨끗이 비운다. |
(2) 헹군다 | 묻어있는 이물질은 닦거나 헹궈야 한다. |
(3) 제거한다 | 붙어있는 라벨 등 다른재질들은 제거한다. |
(4) 섞지 않는다 | 분리수거함에 넣을 수 있는 재질의 품목만 넣는다. |
○ 페스티로폼 (순백색)
- 스티로폼 상자의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고 이물질(테이프, 송장)을 제거 후 배출
- 음식물 등 이물질이 묻은 스티로폼은 일반용 종량제 봉투로 배출
* 단, 건축용 자재로 쓰인 내연재, 공작용 우드락 재질로 된 것은
일반용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- TV, 냉장고 등의 포장,운반에 사용된 스티로폼은 제품구입처로 반납
- 농,수,축산물의 포장에 사용된 백색 스티로폼 용기는 내용물을 완전히 비우고 부착상품 등을 제거한 후 묻어있는 이물질을 씻어서 배출
- 컵라면 용기 등 음식물로 오염된 스티로폼은 일반 종량제 봉투 배출
Q&A
고무대야는 어떻게 버리나요? |
고무대야는 재활용이 가능하나 여러종류의 합성수지가 섞여있어 재활용 가치가 낮으므로 일반용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거나 대형폐기물로 신고하여 배출 |
폐토너는 어떻게 버리나요? |
○ 재생가능한 폐토너는 수거업체를 활용 배출 ○ 재생 불가능한 품목은 분말이나 잉크가 흐르지 않도록 비닐봉투에 담아 묶어서 특수 종량제 봉투로 배출 |
화분은 어떻게 버리나요? | 도자기, 화분 등은 재활용이 안되므로 특수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거나 어려울 경우 대형폐기물로 신고 후 배출수수료를 납부하고 배출 |
유아용 볼풀공은 어떻게 버리나요? | 유아용 볼풀공은 EVA라는 플리스틱의 일종으로 재활용이 되며, 플라스틱류로 배출 |
완구류 등은 어떻게 버리나요? |
○ 재질별로 분리 후 재활용품으로 배출 단, 재질별 분리가 어려울 경우 특수 마대로 배출 ○ 대형 완구류(유모차, 유아용 그네, 유아용 자동차, 유아용 목마 등)는 대형폐기물로 신고 후 배출수수료를 납부하고 배출 |
노끈은 재활용이 가능한가요? |
노끈은 재활용이 되는 자원으로 비닐류로 배출. 자주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(PP) 재질의 노끈은 재활용이 되지 않으므로 종량제 봉투로, 부드러운 재질의 비닐 노끈은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비닐류로 배출 |
형광등
○ 깨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요거점(동 주민센터, 아파트 등)에 설치된 폐형광등 전용수거함에 배출
※ 백열전구나 LED 등은 재활용되지 않으므로 특수 규격 마대에 담아 배출해야 합니다.
재활용이 가능한 형광등 종류
안정기 내장형램프(CFL), 직관형 형광램프(FL), 콤팩트형 램프(FPL), 환형(원형) 형광램프(FCL)
Q&A
형광등류는 어떻게 배출하나요? | 백열전구, LED 전구, 깨어진 형광등은 신문지 등으로 잘 싸서 특수규격마대에 담아 배출 |
조명 등기구는 어떻게 배출하나요? | 소형은 특수 규격 마대로 배출가능하며 나머지는 대형폐기물 신고 배출 |
비닐류
과자, 라면, 빵 봉지, 1회용 비닐봉투 등 모든 비닐
○ 투명 비닐봉지에 넣어 재활용품으로 배출
○ 스티커, 음식물 등 이물질이 묻은 경우 종량제 봉투 배출
○ 폐비닐은 투명봉투에 넣어 흩날리지 않게 묶어서 주1회 지정요일(목요일) 배출
Q&A
에어캡(뽁뽁이)은 어떻게 배출하나요? | 에어캡(뽁뽁이)도 비닐류이므로 재활용품으로 분리배출 |
스티커가 붙은 비닐이나 오염된 비닐은 어떻게 배출하나요? | 스티커를 제거 후 비닐류로 배출하시고 오염된 비닐은 일반용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 |
의류
배출방법 - 전용수거함
○ 재사용 가능한 의류 : 주변에 설치된 의류수거함에 배출
○ 재사용이 곤란한 의류 : 일반용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여 배출
의류수거함에 넣을 수 있는 것
○ 의류, 신발, 누비이불 등
의류수거함에 넣을 수 없는 것
○ 여행가방 등 가방류, 이불, 베개, 방석, 커튼, 카펫, 실내화, 슬리퍼, 인형류, 전기장판, 걸레, 수건, 인라인 스케이트
※ 일반용 종량제 봉투 또는 대형폐기물로 신고 후 배출
Q&A
솜이불은 어떻게 배출하나요? |
솜이불은 재활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대형폐기물로 신고 후 수수료를 납부하고 배출해야 합니다. 다만, 소량인 경우에는 일반용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 |
걸레, 수건은 어떻게 배출하나요? | 걸레와 수건은 재활용이 안되므로 일반용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 |
음식물 쓰레기
배출방법
가정 - 일반주택, 공동주택, 빌라 등
○ 종량제 봉투 - 1,2,3,5,10L
○ 납부필증 - 60,120L
○ RFID 종량기 - 130원 / kg
사업장 - 음식점, 슈퍼 등 가정이 아닌 곳
○ 납부필증 - 5,10,20,60,120L
○ RFID 종량기 - 190원 / kg
다량배출 사업장 - 200㎥ 이상 음식점, 학교, 병원 등의 집단급식소 등
○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와 직접 계약하여 배출
※ 법적의무사항
1. 처리업체와 계약서 작성 후 청소행정과에 신고서 제출
2. 음식물 배출일마다 관리대장(배출량) 작성 및 2년 간 보관
3. 매년 2월말까지 전년도 음식물쓰레기 배출실적을 청소행정과에 제출
4. 변경사항(대표자, 위탁처리업체, 단가) 발생 시 청소행정과에 변경신고서 제출
음식물쓰레기가 아닌 것
○ 배출방법 - 일반용 종량제 봉투 사용 배출
채소류 | 쪽파, 대파, 미나리 등 "뿌리", 양파, 마늘, 생강, 옥수수 등의 "껍질", 고추씨, 고추대, 옥수수대 |
육류 | 소, 돼지, 닭 등의 "뼈다귀와 털" |
어패류 |
조개, 소라, 전복, 멍게, 굴 등의 "껍데기", 게, 가재 등 "갑각류의 껍데기" |
과일류 | 호두, 밤, 땅콩, 도토리 등 "딱딱한 껍데기", 복숭아, 살구, 감 등 핵과류의 "씨" |
기타 | 계란 등 "알 껍데기", 각종 차류와 커피 및 한약재 "찌꺼기" |
※ 말린 과일 껍질 등은 음식물로 배출
대형폐기물
○ 각종 가구류(장롱, 책상, 소파, 침대 등), 침구류(솜이불, 쿠션 등), 유리창문, 자전거 등 생활용품류
○ 종량제 봉투에 담기 어렵거나 부피가 큰 기타 대형폐기물
아이스팩
젤타입
○ 아이스팩을 통째로 종량제봉투 배출
물타입
○ 친환경 제품이므로 내용물은 하수구 배출, 비닐은 폐비닐로 분리배출
기타 재활용품 Q&A
폐목재류는 어떻게 배출하나요? |
일반 가정에서 나오는 소량의 경우는 특수 규격 마대에 넣어 배출하시면 됩니다. 다만, 다량일 경우 대형폐기물로 신고 후 수수료를 내고 배출해야 합니다. |
사용한 페인트통은 어떻게 배출하나요? | 남은 페인트를 굳혀 특수 규격 마대(불연물질)를 구매 후 배출하시면 됩니다. |
양초(케이크 양초 등)는 재활용이 되나요? | 양초는 재활용품이 아니므로 일반용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하시면 됩니다. |
스펀지는 어떻게 배출해야 하나요? | 스펀지는 재활용품이 아니므로 일반용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해야 합니다. |
폐의약품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? | 가정 내 폐의약품은 가까운 약국으로 가져갑니다. 그 중 사용가능한 의약품은 약사의 복약지도를 받고, 사용 불가능한 의약품은 약국 또는 보건소에서 안전하게 회수하여 폐기하고 있습니다. |
자료는 강동구청 청소행정과에서 발행한 재활용 분리배출 가이드를 참고하였습니다.
"분리수거를 잘하여서 환경을 보호합시다!!"
"당신의 작은 행동이 지구를 살립니다!!"
너무 고리타분한 멘트인가요 ㅎㅎ
무튼 조금만 신경써서 분리수거 잘해봅시다!!
'천국나그네의 정보창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상회의 줌 다운로드 바로가기 : pc버전 (1) | 2020.04.21 |
---|---|
코로나19 슬기로운 거리 두기 : <책쉼터> 무료 전차책 읽어요 4월 2권!_문화체육관광부 (0) | 2020.04.21 |
전자 주민등록등본 발급 : 정부24 앱 전자증명서 발급하기 (0) | 2020.04.21 |
[정부24] 출입국 사실증명서 발급 (0) | 2020.04.21 |
[코로나지원금] 소득 하위 70% 가구에 긴급재난지원금, 4인 가구 기준 100만원 (0) | 2020.03.30 |